절차 및 기준
심사 절차 순서도
단계별 간략 설명
모바일 앱 품질인증 절차
- 견적서 발송 : 고객사로부터 견적요청을 받아 견적서를 발송합니다.
- 신청서 접수 및 처리 : 고객사로부터 신청서를 받고 입금확인 및 세금계산서를 발행합니다.
- 일정 협의 후 1차 심사 : 고객사와 일정협의 후 1차 인증심사를 진행합니다.
- 1차 심사 결과 : 1차 심사 결과가 합격일 경우 합격보고서와 인증서를 고객사에 발송하고 심사가 종료됩니다. 결과가 불합격인 경우 불합격보고서를 발송하고 수정 및 보완을 요청합니다.
- 2차 심사 진행 : 고객사로부터 2차 인증심사 요청이 접수되면 2차 인증심사를 진행합니다.
- 2차 심사 합격 : 2차 심사결과가 합격일 경우 합격보고서와 인증서를 고객사에 발송하고 심사가 종료됩니다. 결과가 불합격인 경우 불합격보고서를 발송합니다.
- 이의 제기 : 고객사로부터 이의제기가 있을 경우 이의 제기한 부분을 검토합니다. 만약 이의제기가 없다면 불합격으로 처리하고 심사를 종료합니다.
- 최종 검수 : 이의제기를 받아들인 결과가 합격기준 이상이면 정정보고서 및 인증서를 발송합니다. 이의제기가 받아들여졌으나 합격기준에 미달 또는 이의 제기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 불합격처리하고 심사를 종료합니다.
- 심사종료 : 합격 또는 불합격처리가 되었다면 심사결과를 정리합니다.
대상과 기준
대상과 기준 대상, 기준 정보를 포함하는 표
대상 |
Android 및 iOS 애플리케이션 |
기준 |
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0 |
심사 환경
심사 환경 OS버전,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표
OS버전 |
해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가장 최신의 OS버전 또는 그 이전 버전 |
디바이스 |
해당 OS를 지원하는 레퍼런스 기기(Reference Device)
- iOS : iPhone, iPad
- Android : TalkBack을 지원하는 Android 기기
|
심사 구분
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품질인증 심사는 크게 서면심사와 기술심사로 구성됩니다. 서면심사는 서류심사, 기술심사는 전문가심사와 사용자심사로 구성됩니다.
심사 구분 서면 심사, 기술 심사 정보를 포함하는 표
서면 심사 |
서류 심사 |
기술 심사 |
전문가 심사 |
사용자 심사 |
서면심사는 인증 수수료 납부 및 서류심사로 제출된 서류의 적합성을 심사합니다. 서면심사에서 문제가 없는 경우 정상적으로 접수 처리가 되며, 본격 심사인 기술심사를 진행하게 됩니다.
기술심사 항목 및 기준
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품질 인증의 핵심인 기술심사는 현재 KS표준인 '[KS X 3253]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0'을 기준으로 진행됩니다.